본문 바로가기
디지탈노마드

오프닝시퀀스의 아버지 'Saul Bass (소울바스)'

by memewave 2024. 2. 4.

영화 전체에 생명을 불어넣는 오프닝 시퀀스

두 거장, Saul Bass와 Kyle Cooper

이제 모션 그래픽 디자인의 주요 장르인 인트로 무비, 오프닝 시퀀스, 타이틀 시퀀스, 영화 산업의 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오프닝 시퀀스에 생명을 불어넣은 디자인 거장들의 이야기를 지금 만나보자.

 

오프닝시퀀스의 아버지 'Saul Bass (소울바스)'

 

먼저 큰 차이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

Soul Bass는 영화의 세계에서 오프닝 시퀀스에 디자인과 정당성을 부여한 사람입니다. 

컴퓨터 그래픽 없는 비즈니스.


Kyle Cooper는 현재의 오프닝 시퀀스를 그가 암시한 지점까지 개척하고 발전시킨 사람입니다. 

전체 영화에서 티저 역할을했습니다.

  

두 사람의 공통점은 콘셉트를 명료하고 간결하게 전달하는 미니멀리즘을 추구했다는 점이다.

그 수단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가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오프닝시퀀스의 아버지 'Saul Bass (소울바스)'

 

미니멀리즘 [미니멀리즘]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시각예술 분야에서 나타나 음악,

건축, 패션, 철학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영어로 미니멀리즘이라는 용어는

Minimal'은 '최소한, 최소한의, 최소한의'라는 의미와 '주의'를 의미하는 'ism'을 결합하여 사용되었습니다.

1960년대부터.

미니멀리즘은 기본적으로 예술적 기법이나 각색을 최소화하고 

근본적, 즉 대상의 본질을 표현하고 현실과 작품의 괴리를 최소화하며 

실제 현실이 달성됩니다.

 

오프닝시퀀스의 아버지 'Saul Bass (소울바스)'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키네틱(kinetic)이라는 말은 움직임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키네시스'에서 파생된 것으로, '이동' 또는 '이동에 의한'의 의미를 갖는다. 쉽게 해석하면 '타이포그래피(글자)는 역동적인 움직임을 갖는다'로 해석할 수 있다. 다른 말로 '움직이는 텍스트'라고도 합니다.

화면에 나타나는 글꼴의 크기, 박자, 리듬, 속도, 변형 등을 통해 전달된다. 이 심플한 디자인 요소는 매우 임팩트가 강하며 많은 플롯과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는 표현 방식입니다. 현재 모션 그래픽 디자인의 초기 시작 단계의 대부분이 기네마틱 타이포그래피에서 사라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미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Soul Bass (소울 바스)" [ 1920~1996 ]

미니멀리즘은 Soul Bath의 디자인 세계를 지배합니다.

 

오프닝시퀀스의 아버지 'Saul Bass (소울바스)'

 

뉴욕에서 디자인을 공부하고 프리랜서 디자이너로 일하다가 1946년 캘리포니아로 이주하여 자신의 스튜디오를 열었습니다. 영화의 메카인 LA에 뉴욕 스타일의 감성을 이식하다 자연스럽게 영화와 관련된 디자인을 접하게 됐다.

 

컴퓨터 그래픽이 없던 시절 콜라주와 드로잉 그래픽으로 천재적인 연출과 아이디어로 빛을 발한 디자이너다.
20세기에 디자인을 공부하고 실천한 디자이너들은 '아메리칸 쇼케이스', '워크북' 등 참고서에서 수없이 본 디자인이 소울바스의 영향임을 알 것이다.

 

특히 캘리포니아로 이주해 디자인 스튜디오를 차리면서 자연스럽게 영화계 일을 시작했다.
그리고 새로운 디자인 기법과 발상으로 오프닝 시퀀스 장르를 개척했다.

 

소울바스의 디자인 실력을 인정한 수많은 할리우드 영화감독들은 그에게 제작할 영화의 모든 로고, 타이틀 시퀀스, 컨셉 그래픽, 포스터, 홍보 그래픽을 의뢰하기 시작한다. 또한 영화 편집자와 제작자를 포함하도록 역할이 확장되었습니다.

 

그러나 극장의 간판과 포스터 수준에 그쳤던 영화인의 비전은 영화 속 스크린으로 이어져 그래픽이 전하는 철학을 보여주는 시대를 개척했다.

 

 

소울바스의 디자인 철학

“디자인은 시각적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오프닝시퀀스의 아버지 'Saul Bass (소울바스)'
소울바스의 특징은 복잡한 디자인을 과감히 제거하고 심플하고 상징적이면서도 절제되고 심플한 표현에 중점을 두는 것입니다.

 

디자인은 생각하고 시각화하는 것입니다.

소울바스가 추구하는 디자인 철학이 담긴 그래픽을 감상해보자.

 

오프닝시퀀스의 아버지 'Saul Bass (소울바스)'
영화 '황금팔을 가진 사나이' [1955]

 

포스터 그래픽의 역사를 전후로 가른 작품인 소울 베이스는 이 포스터에 그치지 않고 그의 휘어진 팔을 아이덴티티로 삼아 수많은 홍보물과 영화, 심지어 오프닝 시퀀스까지 진출했다. 단순히 디자인적인 면에서 눈에 띄는 발전이 아니라, 영화 산업의 디자인과 그래픽을 결합해 산업 자체에 영향을 미치고 각성시킨 큰 이슈다.

 

[황금팔을 가진 사나이]는 마약 중독자이자 도박꾼인 프랭키 머신(프랭크 시나트라 역)이 사랑의 힘으로 마약을 극복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다. 도박장에서 뛰어난 실력을 발휘해 '황금 팔의 사나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빠르고 능숙한 팔이지만 마약을 주입한 팔이기도 하다.

솔바스는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구부러진 팔을 영화의 그래픽 아이덴티티로 삼아 포스터, 타이틀 시퀀스, 각종 홍보물 등에 적용했다. 포스터에는 주연 배우들의 얼굴이 보이지 않고 글자만 보인다. 그것도 아주 작은 글씨로. 삐뚤어진 팔과 큰 옆면을 그래픽 요소로 심플하게 디자인한 포스터는 눈에 잘 띄지 않지만 디자이너 솔 바스(Sol Bass)의 이름을 담고 있다. 할리우드의 거의 모든 영화 포스터는 익명으로 디자인되었기 때문에 이 또한 큰 변화였습니다. 타이틀 시퀀스는 막대 모양의 그래픽 요소가 움직일 때 배우와 스태프 이름이 나열되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솔 바스가 영화 타이틀에 이런 그래픽 요소를 도입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이 급진적인 변화는 영화가 개봉된 지 거의 50년 후에 일어났습니다. 

 

 

황금팔을 가진 사나이 소울바스의 철학이 집대성된 '살인의 해부학'

소울바스의 능력을 직감한 오토 프레밍거 감독의 또 다른 영화로 발전했다. 전작에 비해 과감해진 그는 마케팅과 홍보의 모든 것에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녹이기 시작했다.

 

오프닝시퀀스의 아버지 'Saul Bass (소울바스)'
영화 '살인의 해부학' 포스터 [살인의 해부학, 1959]

 

[살인의 해부]는 유능한 변호사 제임스 스튜어트가 얽힌 살인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영화다. Sol Bass는 '살인의 해부학'이라는 제목을 바탕으로 실루엣으로 인체의 상징을 디자인합니다. 이 심볼은 내부 문서인 대본의 표지에도 적용되었고, 보도자료 문서, 타이틀 시퀀스, 포스터, 각종 홍보물에도 차례로 적용되었다. 타이틀 시퀀스에서 이 검은 인체 심볼은 각각 머리, 다리, 팔, 몸통으로 분해되어 정보가 표시되는 영상으로 디자인되었습니다.

 

 

소울바스가 참여한 포스터 디자인들
소울바스의 철학인 컨셉은 명료하고 단순하며, 영화의 소품과 플롯을 암시하는 미니멀리즘이 모두 녹아 있다.

 

오프닝시퀀스의 아버지 'Saul Bass (소울바스)'
몇 가지 주목할만한 것들. 영화 '엑소더스'와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포스터가 눈에 띈다.

 

위의 데이터에서 얻은 인사이트는 영화의 흥행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배우의 이름이 아주 작거나 보이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한 원인은 감독이 표현하고자 했던 영화의 전달력과 작가가 표현하고자 했던 예술성을 응축하여 그래픽으로 표현한 것이다. 과거 영화 산업은 투자와 흥행 측면에서 중요했을 것이고, 이러한 시도가 산업 전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예측 가능한 부분이다. 소울 베이스와 작가의 혼이 깃든 작품을 만든 감독 오토 프레밍거가 큰 이유다.

 

Catch Me If You Can (오프닝 크레딧)

 

 

 

제 추측이지만 이 강렬한 색감과 모티프가 감지하는 프로페셔널한 타이틀 시퀀스와 오프닝으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007 시리즈'가 아닐까 싶습니다. 위의 소울바스 작품들처럼 상징적인 전체적인 컨셉을 표현하기보다는 '제임스 본드 007'의 주인공 설정과 '스파이 무비'의 캐릭터에 초점을 맞춰 개선한 것으로 판단된다.

 

소울바스의 2004년 전시에서 살인의 해부 작품을 모티브로 한 작품이다.

 

오프닝시퀀스의 아버지 'Saul Bass (소울바스)'
Saul Bass 전시회 (디자인 박물관, 2004). '압연, 매우 고운/거의 민트' 박물관 포스터

 

그래픽, 디자인, 오프닝 시퀀스가 ​​많은데 유튜브나 네이버에서 좋은 자료를 찾을 수 있으니 이 정도는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디자이너는 현실과 타협합니다. 상업적인 수익을 생각할 때 그들은 시간과 재능을 교환하거나 감각(품질)과 돈을 교환합니다. 요즘 수많은 디자인 회사, 디자이너 프리랜서, 디자인 자동화까지… 치열하게 경쟁하는 생태계라고 볼 수 있다.

광고, 건축, 웹, 어플리케이션, 방송, 영상, 인테리어 디자인 모두 본질은 같습니다.

 

디자인을 공부하던 시절, 전문 디자이너가 된 첫 순간 '나의 재능은 시간과 맞바꾸지 않겠다'는 결심을 했을 것이다. "생명을 불어넣지 않는 영혼 없는 출력과는 충돌하지 않겠다!" 말하기는 쉽지만 구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제 일해서 먹고살아야지...
과거의 디자인 선구자들이 대단한 이유는 그들을 극복했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경쟁이 치열하지 않았다며 스스로를 위로하지만, 생각해보면 그때는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웨스앤더슨의 미장센 '앵글과 색감에 올인하는 영화감독'

영화감독 '웨스 앤더슨'의 재미있는 '대칭' [ Symmetry ]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로 유명한 감독 웨스 앤더슨. 영화의 색감으로도 유명하지만, 카메라 앵글의 고집으로도 유명합니다. 미학을 고집

memebro.kr

 

오프닝시퀀스의 거장 'Kyle Cooper (카일쿠퍼)'

Opening Sequence 영화의 전체에 생명을 불어넣어주는 오프닝 시퀀스 지금은 모션그래픽 디자인의 굵직한 장르이며, 영화 산업의 사업으로 자리 잡은 인트로 무비, 오프닝 시퀀스, 타이틀 시퀀스. 지

memebro.kr

 

오토모 카츠히로의 'AKIRA' 원작과 애니메이션

무너진 도쿄, 비밀 프로젝트! 오토모 카츠히로가 1982년부터 1990년까지 코단샤의 청년대상 만화잡지 〈영 매거진〉에 연재한 사이버펑크에 영향을 받은 만화로 출판사에서 선전 문구로 내세운

memebro.kr